최근 경기 선행 지수 발표 이후 미국 지수들이 출렁이고 있는데요, 그중 S&P500 지수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. S&P500은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가 기업규모·유동성·산업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 종목을 대상으로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입니다.
1. S&P500 월봉 분석
- 최근 S&P500은 하락하여 5일 평균 이동선(검은색 선)이 20일 평균 이동선(빨간색 선)을 뚫고 하락하였습니다. 520DC가 실현되었습니다.
- 그리고 검은 색 선 이 2개의 바닥을 그리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- 1개의 바닥을 그렸다면 20일 평균이동선을 뚫지 못하고 다시 하락할 것입니다.
- 하지만 2개의 바닥을 정확하게 그리고 있기 때문에 다시 5일 이동선은 20일 이동선을 뚫고 상승할 것입니다. (520GC실현)
- 이 상승세를 이어 간다면 20일 평균 이동선과 60일 평균 이동선이 만날 것인데 이것은 조금 먼 미래의 일 일듯 합니다. (경기 침체가 온다는 확신이 여러 지표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계속 상승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.)
- 앨리엇 파동을 그려보면 4파 지점에서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- 5파 달성을 실패하고 4파에서 좌절 된 것입니다.
2. S&P500 주봉 분석
- S&P500 월봉은 여유롭게 움직이지만 주봉은 그에 비하면 조금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. 하위봉을 살펴볼 때면 늘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.
- 주봉에서는 하락 5파 달성하여 2박자째 박스권을 형성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.
- 5일 평균이동선(검은색 선)이 20일 평균 이동선(빨간색 선)을 뚫고 상승하였고 다시 하락하는 듯 하나 다시 재상승중입니다. 검은색 선이 60일 평균 이동선(녹색선)을 뚫고 올라갈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
- 아마 바로 뚫지는 못할 것입니다. 아직은 힘이 부족하니까요
- 60일 평균 이동선을 뚫고 올라가는 때에는 분명 상승장 일 것입니다.
3. 결론
아직은 S&P500 지수가 상승할 여력은 없는 듯 합니다. 조금(10~20주) 더 지켜보면서 차트의 변화를 느껴보아야 할 때입니다. 그 누구도 최저점을 알 수 없습니다. 하지만 무릎에서는 매수를 해야 합니다. S&P500 지수는 서학 개미들에게는 필수인 지수로 점검하는 포스팅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.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금융지수 3배 인버스 ETF 추천(FAZ) (0) | 2023.03.23 |
---|---|
한화에어로스페이스 언제 매도 할까? 매도 시점 분석 (0) | 2023.03.23 |
연말 정산 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 (0) | 2022.12.09 |
10억 달러는 우리 돈으로 얼마일까요? (0) | 2022.12.09 |
바이든 바이오 이니셔티브 서명으로 바이오 제약업계 타격 (0) | 2022.09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