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? 내 아이 용돈 관리하는 방법 첫 번째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. 아이를 키우면서 학업도 중요하지만 경제교육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. 하지만 학교에서 경제 교육은 너무 단편적으로 끝내기 때문에 가정에서 경제교육을 꼭 해야 하는데요, 용돈을 도대체 얼마를 줘야 하는지, 그리고 용돈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너무 막막합니다.
그럼 우선 적당한 용돈은 얼마일까요?
학년 | 일주일 적정 용돈 | 한달(5주)기준 합산한 용돈 액수 | 적절한 지급 일시 (한달 용돈을 나누어 지급) |
1학년 | 2천원 | 1만원 | 일주일마다 |
2학년 | 3천원 | 1만5천원 | 일주일마다 |
3학년 | 4천원 | 2만원 | 2주나 한 달마다 |
4학년 | 5천원 | 2만5천원 | 2주나 한 달마다 |
5학년 | 6천원 | 3만원 | 2주나 한 달마다 |
6학년 | 7천원 | 3만5천원 | 2주나 한 달마다 |
용돈 액수는 지역과 가정 형편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용돈은 너무 많아도 문제, 너무 적어도 문제입니다. 그리고 용돈은 의식주에 관한 것은 제외하고 오로지 아이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돈을 말합니다.
두 번째로 용돈 관리를 위한 통장 개설입니다. 필자는 아이에게 2개의 입출금 통장을 만들어줬습니다. 당연히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인터넷 뱅킹도 신청해 줬습니다. 아이가 스스로 핸드폰으로 본인의 계좌를 살펴볼 수 있도록 설정해줬습니다.
- 정기적 용돈의 50%는 저축을 하도록 가르쳤습니다. (A계좌)
- 비정기적 용돈(조부모님, 다른 어른들께 받는 용돈)은 B계좌에 넣어서 관리하도록 가르쳤습니다.
이 비정기적인 용돈이 어느 정도 모이면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증권계좌를 아이 명의로 개설하였습니다. 이 증권 계좌는 제가 관리를 합니다. 어느 정도 비정기적인 계좌에 돈이 모이면 증여세 신고를 미리 하고 적절한 종목을 선정하여 주식을 사고 있습니다.
내 아이에게 돈을 관리하는 습관을 가르친다는 것은 생활 습관을 가르치는 것이며, 이는 나아가 자기 주도 학습이라는 큰 물줄기로 이어집니다. 돈을 차곡차곡 모으며 얻는 인내심과 뿌듯함을 느껴본 아이는 스스로 돈을 모아야 돈을 크기를 알고,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갖기 위해 기다리는 법을 체득합니다. 이것들이 모두 아이의 자산이 될 것입니다. 우리가 아이에게 큰돈을 물려줄 수 없다면 돈 관리하는 방법을 물려줘야 할 것입니다.
지금까지 적절한 용돈 액수와 용돈 관리법을 알아보았는데요, 다음에는 아이에게 주식 이야기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'자녀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청년 주택청약 통장 제도 정리 (0) | 2023.01.25 |
---|---|
미성년자 주택청약 통장 가입하는 방법 (0) | 2022.02.23 |
내 아이 용돈 관리법(2) (0) | 2022.02.08 |
댓글